성유식론료의등의 원측설 비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2 20:10
본문
Download : 성유식론료의등의 원측설 비판.hwp
up성유식론료의등의원측설비판 , 성유식론료의등의 원측설 비판법학행정레포트 ,
다.
성유식론료의등의 원측설 비판에 대한 자료 입니다.
Ⅰ. 들어가는 말
Ⅱ. 혜소의 불교 이해와 기본 입장
Ⅲ. {성유식론료의등}의 저술 의도와 서술 방식
Ⅳ. 혜소의 비판 내용에 대한 analysis
1. 마음의 본체에 대한 논의
2. 아뢰야식에 관한 논의
3. 마음의 작용 과정에 대한 논의
4. 깨달은 후의 마음 작용에 관한 논의
5. 그밖의 문제들에 대한 논의
Ⅴ. 혜소의 비판을 통해서 본 원측 유식학의 특징과 의미
Ⅵ. 맺는 말
Ⅰ. 들어가는 말
신라의 유식학은 원측-도증-태현으로 이어지고 있고, 그것은 현장-규기-혜소-지주로 이어지는 中國 법상종의 흐름과 맏닿아 있으면서도 많은 면에서 독자적인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이 이미 국내외의 수 많은 기존연구들에 의해서 밝혀진 바 있다아 7세기 中國에서는 현장-규기에 의해 확립된 中國의 법상종이 신라의 원효가 선망해서 유학을 꿈꾸었을 정도로 명망과 위세가 대단했고 일세를 풍미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라의 원측은 신·구 유식을 비판적으로 종합하는 새로운 유식학의 체계를 확립하였고, 도증을 비롯한 신라의 학승들이 이를 추종함으로써 신라유식이라는 또 하나의 흐름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법상종 문하들에 의해서 심한 질시와 견제를 받았다. 이 두 학풍 사이의 대립은 법상종의 기본텍스트라고 할 수 있는성유식론에 대상으로하여 원측이성유식론소를 지어 규기의 주석인 성유식론술기와 다른 해석을 제시하고 그의 제자 도증이 성유식론요집을 지어 이를 뒷받침하자, 규기의 제자 혜소가 다시 성유식론료의등을 지어 원측과 도증의 성유식론에 대한 해석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데에서 극치를 이루고 있다아 혜소는 성유식론료의등속에서 200여회에 걸쳐서 원측과 도증의 견해를 구체적으로 인용하여 논박하는 등 논의의 거의 대부분을 원측과 도증의 견해를 논박하는데 할애하고 있다아 따라서 성유식론료의등은 中國유식과 신라유식의 차이를 가장 극명하게 보여줄 수 있는 중요한 資料라고 할 수 있다아 그러나 성유식론료의등에서 이루어지는 혜소의 원측에 대한 비판을 직접적으로 다룬 기존의 연구는 황성기(황성기)의 「원측의 유식학설 연구」가 있을 뿐이다. 여기서 황성기는 원문을 부분적으로 인용한 다음, 그 비판의 논리와 근거를 세밀히 따지지 않은 채, 그의 비판이 편협하고 근거없으며 부당하다고 일방적으로 conclusion 짓고 있다아
혜소에 대한 이러한 비판이 정당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혜소가 어떤 입장에 서 있는가를 살핀 다음, 혜소의 입장에 서서 그의 관점과 견해를 충분…(투비컨티뉴드 )
,법학행정,레포트






레포트/법학행정
설명
성유식론료의등의 원측설 비판
순서
up성유식론료의등의원측설비판
Download : 성유식론료의등의 원측설 비판.hwp( 32 )
성유식론료의등의 원측설 비판에 대한 reference(자료)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