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부갈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4 03:17
본문
Download : 고부갈등.hwp
이것이 화근이다. 아브라함이 기근을 못이기고 애굽에 내려갔다가 망신을 당하고 돌아온 것처럼, 야곱이 7년 기근을 견디지 못하고 요셉이 있는 애굽으로 내려간 결과 후손이 400년간 종살이를 하게 된 것처럼, 하나님의 백성들이 고난을 이기지 못하고 주님을 떠난다면 결과는 뻔한 일이다. 그렇다고 해서 모압에 내려가지 않았던 마을 사람들이 다 죽은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어떤 이유에서든지 우리가 주님을 떠나서는 살 수 없다. 우리는 그들의 죽음을 베들레헴을 떠나 모압에 거처를 옮긴 사실 외에는 다른 어떤 이유로 설명(說明)할 수 없다. 이곳은 다윗의 고향이며 예수님이 태어나신 곳이다. 이것은 요셉의 때도 마찬가지가 아닌가? 비록 7년의 긴 기간 극심한 흉년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그 때 애굽으로 내려가지 않았던 사람들이 다 죽어 없어졌단 말인가?
기억하자. 어떤 이유에서든 베들레헴을 떠난 것이 불행이다.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인 가나안 땅에도 흉년이 찾아왔다. 더구나 다른 지역보다 물을 풍부히 공급받을 수 있던 베들레헴이 흉년들었다면 다른 지역은 더 말할 것 없을 것이다.순서
설명
Download : 고부갈등.hwp( 19 )
고부갈등
제 3 장
구속사적 관점에서 본 룻기의 본질
1. 룻기가 전달하려고 하는 메시지
첫째, 주님을 떠난 사람의 모습을 보여준다
엘리멜렉과 나오미의 고향은 베들레헴이다. 아브라함이 하나님의 약속을 따라 갈대아 우르를 떠나 가나안 땅에 도착했지만 그 해에 흉년이 들었던 것처럼 믿음으로 사는 성도들에게도 흉년이나 기근이 찾아올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다. 하나님을 잘 섬기는 성도들의 기업이 항상 풍족해야 하겠지만 현실은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고부갈등 , 고부갈등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고부갈등
현대가정에서의 고부갈등과 룻기에서 보는 고부문제에 대상으로하여 설명했습니다.
문제는 그들이 흉년을 이기지 못하고 떡집인 베들레헴을 떠나 모압 땅으로 갔다는 사실이다. 그 이름의 뜻이 ‘떡집’이라는 데서 암시하고 있듯이(예수님은 생명의 떡이시다, 요 6:35) 그들이 베들레헴을 떠났다고 하는 것은 주님의 품을 떠난 사람의 모습을 보여준다.
엘리멜렉이나 기룐과 말룐이 지병을 앓고 있었다는 기록이 없다. 영육간에 죽음이 기…(skip)
,인문사회,레포트
현대가정에서의 고부갈등과 룻기에서 보는 고부문제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