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진보주의와 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6 11:17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진보주의와 교육.hwp
특히 듀이는 생활에 의한 학습(learning by doing)을 강조. 과거의 전통적 교육이 성인중심 교육 내지는 교사중심이었던 것을 비판하고 아동중심 교육으로 전환할 것을 주장. (http://www.riss4u.net/)
Ⅲ. 진보주의의 원리
- 1918년에 조직된 “진보주의 교육협회(P.E.A.)에서 제시한 강령
1. 모든 아동들에게 자연적 발달의 자유를 허용할 것
2. 아동의 흥미를 모든 학습 활동의 동기가 되게 할 것
3. 교사는 친절한 지도자로서 학생에게 대할 것
4. 아동의 발달이란 학교 성적뿐만이 아니라…(skip)
레포트/인문사회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루소의 자연주의와 자유주의 아동관, 그리고 alteration(변화) 적 세계관과 성선설적 아동관, 듀이의 실용주의적 경험론의 影響을 받아 생겨났다.
[사회과학] 진보주의와 교육
![[사회과학]%20진보주의와%20교육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C%A7%84%EB%B3%B4%EC%A3%BC%EC%9D%98%EC%99%80%20%EA%B5%90%EC%9C%A1_hwp_01.gif)
![[사회과학]%20진보주의와%20교육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C%A7%84%EB%B3%B4%EC%A3%BC%EC%9D%98%EC%99%80%20%EA%B5%90%EC%9C%A1_hwp_02.gif)
![[사회과학]%20진보주의와%20교육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C%A7%84%EB%B3%B4%EC%A3%BC%EC%9D%98%EC%99%80%20%EA%B5%90%EC%9C%A1_hwp_03.gif)
Download : [사회과학] 진보주의와 교육.hwp( 11 )
순서
[사회과학] 진보주의와 교육
다.
[사회과학] 진보주의와 교육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사회과학] 진보주의와 교육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진보주의와 교육
사회과학,진보주의와,교육,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진보주의와 교육
Ⅰ. 定義(정이) 적 定義(정이)
1) 진보주의의 定義(정이)
- 사전적 의미 : 사회의 모순을 변혁하려는 전진적 사상 프로그레시비즘(progressivisim) (『국어대사전』이희승 저)
- 전통적 교육에 대해 반기를 들고 프래그머티즘1)을 철학적 기초로 하는 교육개혁운동
- 민주주의적 교육이념, 아동의 창의적 활동 및 흥미, 경험의 중시, 생활 안에서의 교육, 학교와 사회의 밀접한 연관성을 강조
- 실용주의, 도구주의, 실험주의, 기능주의 (브리태니커사전 20)
2) 진보주의 교육의 定義(정이)
- 사전적 의미 : 미국에서 신교육의 의미로 쓰이는 말. 1919년 진보주의 교육협회2)가 설립되어 교육개혁 운동이 처음 되었을 때 부터 쓰이게 됨.(『국어대사전』이희승 저)
Ⅱ. 진보주의의 철학적, history(역사) 적 배경
- 20세기로 접어들면서, 전통적인 교육의 지나친 형식주의에 대해 반발하기 처음 하였다. 파커의 교육개혁운동이 일어난 것은 1870년대이며, 이것은 듀이에 의해 수정되고 형식화되었다. 1930년대의 경제 공황으로 진보주의가 사회적 改善(개선) 을 위한 운동에 역점을 두게 됨으로써, 초기의 개인적 발달의 강조는 ‘사회적 협동’, ‘참여’, ‘適應’등의 강조로 전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