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양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4 13:45
본문
Download : 철학자양주.hwp
둘째로, 많은 사람들이 楊朱를 도가사상의 한 일원으로 생각하면서도 그의 사상을 도가사상의 일원으로 파악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것을 우리가 그냥 그대로 받아들인다는 것은 楊朱를 알지 못하고 그냥 너머가 버리는 꼴이 되지 않을까 한다. 아비도, 임금도 없으니 이것이 곧 짐승이다” 이같이 孟子는 楊朱를 짐승으로까지 비난하였다.철학자양주 , 철학자양주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다. 다시 말하면, 僞我主義와 決樂主義가 도가사상의 전체적인 강조속에서 어떠한 의미 연관을 가지며 그것이 주장될 수 있는 당위성은 무엇인가 하는 것을 밝히지 않았다는 것이다. 왜냐 하면, 맹자의 楊朱墨翟의 말이 “天下에 꽉 차 있다”는 인용문에서 그것이 확인할 수 있따 楊朱는 도가계열의 한 사상가로 알려져 있으나 그의 사상이 도가사상과 어떤 연계성을 지니고 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楊朱는 自己만을 위하니 이것은 임금이 없는 것이요, 墨翟은 두루 사랑함을 주장하니 이것이 아비가 없는 것이다. 楊朱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는 긍정적인 것보다 부정적인 면에서 더 잘 알려져 있따 그에 대한 평가가 부정적으로 생각되었던 Cause 은 세가지 정도로 들 수 있따
첫째는 ‘孟子’속에 “楊朱墨翟”의 말이 천하에 가득 차서 천하의 말이 楊朱에게 돌아가지 않으면 墨翟에게로 돌아간다. 타당한 비판인가를 떠나 ‘孟子’가 사서중의 하나로 되면서 정통성을 인정받아 楊朱의 사상이 이러한 것으로 인정되어지게 된 것이다. 楊朱는 孟子 당시까지만 하더라도 묵가와 함께 커다란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다.
사용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합니다. . 왜냐하면, data(자료)가 너무 적고 다른 …(省略)
Download : 철학자양주.hwp( 53 )
사용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합니다. 셋째로는, 楊朱의 말을 전하는 ‘列子’속의 ‘楊朱編’과 ‘역명편’에서 문자 그대로 생각할 때 이기주의적이고 극단적인 決樂主義의 요소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근래에 와서는 楊朱의 사상이 극단적인 이기주의로 보기보다는 좋은 의미에서의 개인주의로 보고 있따 하지만 확실한 면모는 아닐것이다.
철학자양주
,인문사회,레포트
철학자양주
楊朱의 생존연대는 분명하지 않지만 묵가(BC 479 - 381)와 孟子(BC 371 - 289)가 활동했던 시대의 사람임이 틀림없다.